본문 바로가기

수영 후 눈충혈·가려움·이물감·통증?! 결막염부터 아폴로 눈병까지 증상 & 치료 예방법

달달언니 2025. 7. 14.

한 여름이면 시원한 물놀이가 최고지만, 물놀이 후 눈이 간질간질하거나 충혈되고 따끔거리는 증상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눈이 빨개지고 무언가 들어간 느낌이에요”, “눈곱이 끼고 눈이 따가워요” 같은 느낌이 들면, 이는 단순한 자극이 아닌 결막염·각막염·인두결막염 같은 질환일 수 있어요.

오늘은 여름철 물놀이 이후 눈에 문제가 생긴다면 어떤 질환들이 있는지,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해야 하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결막염-눈병섬네일

 

여름철 물놀이, 왜 눈병에 취약할까?

수영장, 워터파크, 바닥 분수 등에는 염소뿐 아니라 침, 땀, 심지어 미세한 오염물질이 섞이기 쉽습니다. 게다가 뜨겁고 습한 여름날씨는 바이러스, 세균의 산란장이나 마찬가지인데요.

 

특히 여름철은 사람들이 많아 전파 경로가 활성화 되기때문에 바이러스성 결막염 또한 급증하게 됩니다.

 

 

여름철 흔히 걸릴 수 있는 눈 질환

여름철 흔히 걸리는 눈 질환으로 대표적으로 4가지가 있는데요.

 

1. 유행성 각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성)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유행성 각결막염은 수영장, 워터파크에서 눈을 통해 전염되기 쉽고 전염력 또한 매우 높습니다.

 

초기 증상으로는 눈이 충혈되고 심한 이물감, 눈물과 눈곱 증가, 가려움이 생깁니다.

 

잠복기를 거쳐 각막에 상처가 생기면 빛을 보기가 힘들어지며, 어린이는 두통과 설사 같은 전신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2. 급성 출혈성 결막염 (‘아폴로 눈병’)

눈에 자극을 느낀 소녀

 

엔테로바이러스나 콕사키바이러스가 원인인 급성 출혈성 결막염은 잠복기가 1~2일로 짧고, 눈이 심하게 충혈되고 결막하출혈이 나타납니다.

 

통증과 눈부심도 심해 5~7일 정도 지나면 증상이 호전되지만, 전염력이 강해 가족이나 주위에 잘 퍼집니다.

 

 

3. 인두결막염 (‘풀 눈병’)

인두와 결막 모두가 감염되는 인두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 3형이 흔한 원인입니다.

 

'눈곱감기' 라고도 불리는 인두결막염은 눈 충혈과 눈곱 외에도 목 통증, 고열, 콧물, 기침, 드물게는 가슴 통증까지 동반됩니다. 잠복기가 4~7일 정도이며, 증상이 10일 이상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4. 광각막염 (자외선 각막염)

여름철 자외선은 눈을 직접 자극해 '광각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백사장이나 물 위에서 반사된 자외선은 더욱 강력합니다.

 

증상은 충혈과 흐리고 뿌옇게 보이는 시야, 통증, 눈물과 부종이 나타나며 보통 1~3일 이내 자연 호전됩니다.

 

 

치료 및 예방법

약

 

1. 유행성 각결막염

  • 전문가 진단 후 인공눈물, 냉찜질, 항히스타민·스테로이드 안약 처방.
  • 전염 기간인 약 2주간 수건, 베개 등 개인 물품 따로 쓰기
  • 수건·물놀이용품 공유 금지, 손 씻기 철저.

 

2. 급성 출혈성 결막염 (‘아폴로 눈병’)

  • 고통이 심할 경우 냉찜질과 국소 안약으로 증상 완화.
  • 전염성이 크므로 수영장, 학교, 유치원 등 공공장소 출입 제한.

 

3. 인두결막염 (‘풀 눈병’)

  • 별도의 예방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가 없기 때문에 수액, 해열제 등으로 치료.
  • 초기에는 증상이 심할 수 있으나 2주 정도 지나면 대개 자연적으로 치유.
  • 깨끗한 물이나 식염수로 눈 주변을 깨끗이 하기.
  • 사용한 수건은 재사용하지 않기. (감염자와는 수건 따로 사용)
  • 아이의 경우 장난감이나 놀이기구 등을 자주 소독하기.

 

4. 광각막염 (자외선 각막염)

  • 야외 물놀이 시 모자와 자외선 차단 선글라스 착용 권장.
  • 자외선이 높은 정오 시간대(12~4시)에는 휴식 시간 갖기.

 

 

물놀이 후 눈 관리방법

✔ 수영 시 물안경 착용필수! 눈과 수영장 물의 접촉을 최소화하세요.

 

✔ 콘택트렌즈 사용은 피하고, 꼭 써야 한다면 일회용 렌즈를 추천합니다.

 

✔ 물놀이 후 흐르는 물로 눈을 헹구고, '인공눈물로 촉촉히 관리' 하세요.

 

✔ 눈을 비비지 말고, 수건·베개 등 개인 물품은 따로 사용하세요.

 

손을 자주 씻어 바이러스를 예방하고, 눈에 이상이 느껴지면 즉시 안과 진료를 받으세요.

 

✔ 자외선 차단용 선글라스와 넓은 챙 모자를 착용하세요.

 

 

 


 

물놀이 후 눈이 간지럽거나 빨개질 땐 단순한 자극이 아니라 결막염이나 아폴로 눈병일 수 있어요.

 

특히 아이들은 증상이 전신으로 번지기 쉽기 때문에 물놀이 후 눈이 이상하다면 바로 눈을 헹구고 전염 예방을 위한 습관을 지켜야 합니다! (전염기간에는 유치원, 학교, 공공장소 방문 자제와 개인용품 사용 구분이 중요)

 

바이러스성인 경우 대부분 자연회복이 되지만, 이차적 세균 감염 예방차원에서 항생제 안약이 사용될 수도 있으니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눈부심·통증이 심하면 지체하지 말고 안과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수영장 물놀이 후 피부 간지러움 두드러기 원인 및 해결방법

아이랑 수영장에 갔다 왔는데 온몸이 간지럽고 두드러기가 났는데 도대체 왜 이런 걸까?요새는 실내 워터파크도 많다 보니 꼭 여름에만 수영장을 찾는 건 아닙니다 이제는 사계절 내내 워터파

kanemochikr.com

 

 

항문이 자꾸 간지러운 이유,항문주변 가려움 밤에 더 심해지는 이유&해결방법(항문소양증)

위생상태가 불량하면 항문 주변이 가려울 수 있으나 청결을 유지해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항문이 지속적으로 가렵다면 '항문 소양증'일 수 있습니다 항문 소양증은 유독 밤에 심해지는 경향

kanemochikr.com

 

 

 

 

🩷 공감하셨다면 💖

👀 새로운 소식 놓치지 않으려면 구독🔔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